본문 바로가기

초보자를 위한 경제 공부/경제 용어 알고 가기

[이것만 알면 된다!] 코픽스(COFIX)금리란 무엇인가?

[이것만 알면 된다!] 코픽스(COFIX)금리란 무엇인가?

 

결혼을 생각하시는 분, 재산 증식을 원하시는 분들 투자의 일환으로 주식, 채권, 선물 등을 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그 못지않게 많이 하시는게 부동산이죠.

 

하지만 부동산이 한 두푼으로 사지는게 아니죠 ㅠㅠ 부동산으로 투자를 하려거나 내 집 하나 마련하려면 꽤나 많은 돈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많은 분들이 대출을 하게 됩니다.

 

보통 주택담보대출이라고 불리는 주담대를 많이 받으시는데, 이 역시 대출이기에 이자율이라는 것이 존재합니다. 오늘 알아볼 코픽스(COFIX) 금리는 이 주택담보대출의 이자율을 결정하는 기준금리라고 생각하면 되는데요!

 

하나씩 차례대로 알아보겠습니다!

 

첫 번째, 코픽스 금리란 무엇인가?

 

코픽스(COFIX) 금리란 무엇인가?

코픽스 금리는 다른 말로 하면 '자금조달비용지수' 라고도 합니다.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농협, 기업은행, SC제일은행, 씨티은행 등 8개의 대표 은행이 시장에서 조달하는 수신상품의 조달금리를 가중평균해 산출하는 것입니다.

 

여기서 수신상품이란 여신의 반대 념으로 예금/적금이나 은행채 등 은행이 돈을 받는 상품들을 뜻하고, 지수산출대상 자금조달 상품은 정기예금, 정기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양도성예금증서, 환매조건부채권매도, 표지어음매출, 금융채입니다.

 

수신상품들의 조달금리를 가중평균해 산출한 이 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하면 각 개인들의 대출금리가 나오게 됩니다.

 

'코픽스 금리 + 가산금리 = 대출금리' 라는 공식이 되는 것이죠.

 

코픽스 금리가 주택담보대출의 기준금리가 되며, 이 금리에 각 개인의 프리미엄인 가산 금리를 더해 개별주택담보대출의 금리가 산출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전에는 CD금리를 활용했지만 현재는 코픽스 금리를 활용해서 대출금리를 계산하기 때문에 코픽스 금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도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코픽스 금리는 금융권에서 자발적으로 설립한 '은행연합회'에서 산출하며,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두 번재, 코픽스 금리의 종류

 

출처:  전국은행연합회 (kfb.or.kr)

코픽스 금리는 4가지로 나뉩니다.

 

1) 신규취급액기준 COFIX

: 신규취급액기준 COFIX는 최근 30일간 취급한 수신상품의 평균이율로 발표일 기준 지난달에 새로 가입한 예적금들의 금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비교적 짧은 기간을 기준으로 금리를 산출하기 때문에 시장 금리의 변화를 빠르게 캐치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2010년 2월 16일부터 산출하기 시작한 개념입니다.

 

2) 잔액기준 COFIX

: 잔액기준 COFIX는 월 말에 보유한 수신상품 잔액의 평균 금리입니다. 금리 발표 당일까지 쌓인 모든 수신상품들의 금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신규취급액기준 COFIX와 마찬가지로 2010년 2월 16일부터 도입된 개념이지만 금리의 변동과 반영이 느리기 때문에 신규취급액기준 COFIX와는 다르게 시장의 금리 변화에 느리게 반응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3) 신 잔액기준 COFIX

: 신 잔액기준 COFIX금리는 잔액기준 COFIX를 보완하기 위해 나온 개념입니다. 수신상품에 예수금/차입금/결제성 자금을 더해 계산한 평균 이율입니다.

 

기존(잔액기준)에는 금리가 낮은 수시입출금 통장 등의 금리는 반영이 되지 않았지만, 신 잔액기준 COFIX는 전부 반영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2019년 7월 15일에 도입되었으며, 잔액기준 COFIX 금리보다 시장 금리에 빠르게 반응합니다

 

4) 단기 COFIX

: 단기 COFIX는 만기가 3개월인 신규 조달 상품의 평균 금리입니다.

 

2012년 12월 20일 도입되었으며, 만기가 짧은 기업 운전자금의 주요 지표로 활용됩니다. 단기 COFIX도 신규취급액 COFIX와 마찬가지로 기간이 짧아 시장금리의 변화를 빠르게 캐치할 수 있습니다.

 

대출 상품마다 기준이 되는 코픽스는 다르지만, 위의 4가지 중 하나를 기준 금리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변동금리로 코픽스 금리를 활용하며, 전세자금대출의 경우 단기 코픽스 금리를 활용합니다.

 

세 번째, 마무리

 

오늘은 이렇게 코픽스 금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즘같은 고금리 시대에 기준 금리에 대해 알아보는 것은 아주 기본 of 기본이라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연준이나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기준금리도 중요하지만, 본인의 삶에 필요한 금융상품에 어떤 금리가 적용되는지 알아보는 것 역시 만만치 않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대출을 받을 계획이 있으신 분들이나, 이미 대출을 받으신 분들은 더더욱 예민하시겠죠.

 

전쟁 때문에 분위기도 뒤숭숭하고 많은 전문가들의 말이 엇갈리는 요즘 기준금리를 비롯한 다양한 금리에 관심을 가지고 면밀히 관찰하시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